출처 : http://luyin.tistory.com/294 [Luyin]
Ctrl + Space : NameSpace
중요도 : ★★★★★
활용 : 현재 접근 가능한 클래스명, 함수명, DEFINE문 등의 목록을 보여준다.
코드를 치는 도중 Ctrl + Space를 누르면 이전에 선언된 것과
가까운 목록을 보여주며 선택을 함으로써 쉽게 완성이 가능하다.
목록이 하나뿐이라면 그것으로 자동 완성 해준다.
Ctrl + Shift+ Space : Parameter
중요도 : ★★★★★
활용 : 커서가 클래스명의 뒤에 있을 때 접근가능한 변수, 함수 목록을 보여준다.
코드를 치는 도중 Ctrl + Shift + Space를 누르면 이전에 선언된 것과
가까운 목록을 보여주며 선택을 함으로써 쉽게 완성이 가능하다.
목록이 하나뿐이라면 그것으로 자동 완성 해준다.
Ctrl + M,L : 전체 + 버튼으로 만들기
중요도 : ★★★☆☆
활용 : 현재 소스 전체를 {}영역 별로 +버튼으로 만들어준다.
+버튼은 소스가 삭제되는 것은아니라 감춰두는 것으로 볼 수 있다.
소스가 길어 함수 정의나 클래스 정의 부분을 빨리 찾고 싶을 때 많이 사용된다
Alt + F8 : 선택 영역 코드 탭 정리하기
중요도 : ★★★★☆
활용 : 선택한 영역의 코드들의 탭이 뒤죽박죽일 때 사용하면 편리하다.
F9 : 브레이크 포인트 설정
중요도 : ★★★★★
활용 :
현재 커서가 위치한 줄에 중단점을 설정한다.
중단점이 걸리면 디버그시 해당 코드를 실행하기전에 중지되어 사용자에게 코드 위치를 보여준다.
F10 : 줄단위 실행
중요도 : ★★★★★
활용 : 디버깅 모드에서 현재 디버깅하고있는 소스의 줄단위로 진행 시킨다
F11 : 코드 단위 실행
중요도 : ★★★★★
활용 : 디버깅 모드에서 현재 진행중인 커서위치의 코드를 실행한다.
커서위치의 코드내에 함수가 있다면 그 함수의 내부로 들어가게 된다.
F12 : 정의로 이동
중요도 : ★★★★★
활용 : 변수, 함수, 클래스 등의 선언부로 이동한다.
눈에 보이는 변수, 함수 등의 정체를 확인하는데 많이 사용된다.
Ctrl + '-' 키 : 이전 커서 위치로
중요도 : ★★★★★
활용 : 이전 커서위치로 이동하게 된다.
보통 F12로 변수를 탐색한후, 다시 돌아오는데 많이 사용한다.
'IDE + Tools + O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VS Code] sys.argv Terminal Parameter 가 있을 때 디버깅 방법 (0) | 2022.01.10 |
---|---|
코드 편집 단축키 (0) | 2021.06.02 |
visual studio 디버깅, 개념 (0) | 2018.04.30 |
nano 사용 (0) | 2018.04.30 |